웹툴.com

인덕터 계산기 - 직렬, 병렬, 개념, 가이드

인덕터 계산기

L1
mH
L2
mH

계산 방법:

  • 직렬: 각 인덕터 값의 직접적인 합
  • 병렬: 각 인덕터의 역수의 합의 역수

인덕터 계산기 종합 가이드

1. 인덕터 기본 개념

**인덕터(Inductor)**는 전류가 흐를 때 생기는 자기장을 이용해 에너지를 저장하는 수동 소자입니다.

  • 구조: 코일 형태로 감긴 도선
  • 역할: 회로 내 전류 변화에 대해 저항 작용(리액턴스), 임시 에너지 저장

인덕터 단위

  • 주 단위: 헨리(H, Henry)
  • 자주 사용하는 단위: mH(밀리헨리), µH(마이크로헨리)
    • 1 mH = 10⁻³ H
    • 1 µH = 10⁻⁶ H

2. 인덕터 연결 방식

인덕터를 회로에서 여러 개 사용할 때, 필요한 총 인덕턴스(L)를 얻기 위해 직렬(Series) 또는 **병렬(Parallel)**로 연결합니다.

2.1. 직렬 연결 (Series)

  • 공식: L_total = L1 + L2 + … + Ln

  • 특징: 각각의 인덕터가 더해져 전체 인덕턴스가 커짐

  • 응용: 고인덕턴스가 필요한 필터, 전원회로에서 사용

2.2. 병렬 연결 (Parallel)

  • 공식: 1 / L_total = 1 / L1 + 1 / L2 + … + 1 / Ln

  • 특징: 전체 인덕턴스가 인덕터 각 역수 합의 역수가 됨

  • 응용: 소형 인덕터 여러 개로 특정 인덕턴스를 구현하거나, 과전류에 대한 안전성 확보

3. 인덕터 계산기 사용 방법

위에서 임포트된 CalcInductor 컴포넌트는 인덕터를 직렬·병렬로 연결했을 때의 총 인덕턴스를 쉽게 계산할 수 있도록 합니다.

  1. 연결 방식 선택
  • ‘직렬(Series)’ 또는 ‘병렬(Parallel)’ 버튼을 눌러 원하는 연결 방식을 선택합니다.
  1. 인덕터 값 입력
  • mH(밀리헨리) 단위로 각 인덕터의 값을 입력합니다.
  • 최소 2개 이상의 인덕터가 필요하며, ‘+ 인덕터 추가’ 버튼을 통해 원하는 만큼 인덕터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.
  1. 계산 결과 확인
  • 직렬 혹은 병렬 연결 공식에 따라 총 인덕턴스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.
  • 결과는 mH 단위로 표시되며, 소수점 자릿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.

4. 인덕턴스 계산 예시

4.1. 직렬 연결 예시

  • 조건: L1 = 10 mH, L2 = 15 mH
  • 공식:

L_total = 10 + 15 = 25 mH

  • 결과: 25 mH

4.2. 병렬 연결 예시

  • 조건: L1 = 10 mH, L2 = 15 mH
  • 공식:

1 / L_total = 1 / 10 + 1 / 15 = 0.1 + 0.0667 = 0.1667 L_total ≈ 6.0 mH

  • 결과: 약 6.0 mH

5. 인덕터 활용 팁

  1. 전류 용량 확인: 인덕터 코어와 권선의 허용 전류를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
  2. 코어 소재 고려: 페라이트, 철분심 등 코어 재질에 따라 주파수 응답이 달라짐
  3. 직렬·병렬 조합: 원하는 인덕턴스 값이나 전류 용량을 얻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인덕터를 조합
  4. 주파수 특성: 높은 주파수일수록 리액턴스(X_L=2πfL)가 커지므로 설계 시 고려 필요

6. 결론

인덕터는 전류 변화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을 이용해 에너지를 저장·방출하는 핵심 부품입니다. 인덕터 계산기를 통해 간단히 직렬·병렬 연결 시 총 인덕턴스를 계산할 수 있으며, 이를 활용해 전원 회로, 필터 회로 등에서 정확한 인덕턴스 값을 구현해 보세요.

키워드

  • 인덕터단위
  • 인덕터